[서울문화재단] 예술청 법률 특별강연 "시각예술인, 아트워크 얼마를 받아야 할까?" - 아트워크 대가금액 정정당당 협상 노하우

2022-06-17

서울문화재단 공지 바로가기

서울문화재단 예술청 공지 바로가기





"시각예술인, 아트워크 얼마를 받아야 할까?"

"아트워크 대가금액 정정당당 협상 노하우"를 변호사가 알려드립니다.




Ⅰ. 강연 정보

가. 「예술인통합상담지원센터」법률컨설팅 특별기획 오픈강연(6월)

나. 일시․장소 : 2022.06.30.(목) 19:00 ~ 21:00 예술청 제로라운지

다. 참여정원 : 50인 내외

 

창작한 아트워크, 눈에 보이는 만큼 대가금액을 받지 못하고 있어서 고민인가요?

멋진 시각예술인은 자신의 아트워크에 대한 기준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기준을 가지고 멋지게 산정하고 협상하고, 정당하고 합리적인 대가금액을 바탕으로

그 다음의 창작생활을 지속가능하게 이끌어나갈 수 있습니다.

 

서울문화재단 예술청 예술인통합지원센터 시각예술인들을 위해 '돈'(대가금액)에 대한 솔직하고 정확한 강연을 준비했습니다.

예술인으로서 스스로, 분명하게 기준을 정하고 협상하고 계약을 체결하기!

솔직당당하고 유쾌하게 기준을 마련하고,

지속가능한 창작생활의 기초를 마련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아요!



 

Ⅱ. 강연 기획의도

아티스트, 창작기획안은 열심히 썼는데, 대가금액을 말하려니 어떤 기준으로 정해야 할 지 몰라서 우물쭈물할 때도 있고, 얼마나 책정해야 하는지 알 수 없어 곤란해 어디에 물어보기도 어렵습니다. 선배나 동료에게 물어봐도 속시원한 답을 구하기 어렵기도 하고요, 때로는 "예술인이 너무 돈 밝히는 거 아니야"라는 대답을 듣기도 하죠. 때론 "예술가가 직접 돈을 언급하는 건 좋지 않아. 잘 하다 보면 알아서 몸 값이 오를거야."라는 이야기를 들을 때, 막연하고도 불안할 거예요. 예술인도 한 명의 정정 당당한 직업인이기 때문에, 나의 아트워크에 대한 대가금액을 산정하는 기준이 필요합니다. 견적서를 작성하고, 협상을 하고, 정당한 수익분배를 하는 기준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Ⅲ. 강연 구성


1. 아트워크 대가금액 Best Case 2 / Worst Case 2

- 대가금액 산정을 잘한 케이스: 신인 / 경력

- 대가금액 산정을 못한 케이스: 신인 / 경력

 

2. 나의 아트워크 대가금액, 어떻게 산정할까?

- 클라이언트로부터 의뢰가 들어온 경우: 해야 할 말 v. 하지 말아야 할 말

- 대가금액을 구성하는 요소는 무엇이 있을까?

- 견적서를 제대로 작성하고, 제안가를 협상하는 노하우

- 선 계약, 후 창작 프로세스 - 계약서 작성의 중요성

- 대가금액의 유형: 일정금액형 계약, 수익분배형 계약, 2차적사업화 계약, 기타 부대계약

- 만일 약정한 대가금액을 받지 못했다면 어떻게 처리할까?

 

3. 관련한 법제도 및 기관에 대한 소개


서울문화재단 공지 바로가기

서울문화재단 예술청 공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