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문화재단 공지 바로가기


"공연을 앞두고 중도하차를 통보 받았습니다..."
"공동창작으로 가는 게 좋을까요?"
좋은 해결을 바라는, 더 좋은 예방을 원하는 공연예술인을 위한 법률특강
(2차) #실전편
Ⅰ. 강연 정보
가. 「예술인통합상담지원센터」법률컨설팅 특별기획 오픈강연(9월)
나. 일시․장소 : 2022.09.26.(월) 19:00 ~ 21:00 예술청 2층 아트라운지
Ⅱ. 강연 기획의도
혼자가 아닌 여럿이 각자의 몫을 해내며 완성하는 공연예술분야. 첫 만남, 공연이 끝난 후까지의 여러 과정들 중에서 "해결"이 필요한 상황들이 생기기도 합니다. 좋게 해결되어 다음 작업을 또 즐겁게 이어나가기 위해, 미리 함께 알아두면 좋은 "예방" 노하우가 있습니다. 작업이 끝난 후에 서로 다투지 않고 건전하게 작업을 해나가고 싶은 공연예술인들을 위하여 특별히 준비했습니다.
Ⅲ. 강연 구성
Intro
- 계약과 협상의 기초
- 공연예술 분야 법률분쟁의 특이점
CASE 1. "작품활동, 중도에 하차하면 어떻게 되죠?"
곧 공연을 일주일 앞두고 있는 극단 A. 주연급 배우 김갑동은 극단 내 분쟁으로 인해 함께 공연을 할 수 없다고 통보한다. 김갑동의 마음을 도무지 돌릴 수 없고, 나머지 구성원들의 불만은 최고조로 올라가는데 ...
CASE 2. "융복합 다원 예술팀, 공동창작으로 가는 게 좋죠?"
융복합 다원 공연예술팀 B. 김작가(스토리텔링), 박시각(시각, 영상 담당), 오청각(오디오, 사운드 담당), 정무용(행위예술, 무용), 최기술(기술적 구현)로 팀을 구성했다. 다섯명은 각자가 기획이며 연출가로서 창작의 대표성이 있다며 팽팽하게 주장한다. 결국 이들은 공동창작자로서 수평의 관계를 맺기로 하는데 ...
CASE 3. "지원사업에 선정됐는데, 계약서로 발목이 잡혔어요."
지원사업에 신청한 1인 극단 C. 대표 신연출은 최종 선정되었다는 기쁜 소식과 함께 계약서 문제에 발목이 잡힌다. 바로 지원사업에 신청할 때 대충 써서 냈던 계약서가 문제가 됐던 것이다. 선정될 것이라고 크게 기대하지도 않아서 크게 신경을 쓰지도 않았는데, 작가, 배우, 스태프 팀에서 문제를 삼기 시작하는데 ...
CASE 4. "탈퇴한 단원과 유사한 창작으로 분쟁이 생겼어요."
창작 안무 지원사업에 선정된 안무단 D. 공연 때 신작을 발표해야 하고 공연날은 얼마 남지 않았다. 그런데 단장 안무희에게 들려온 청천벽력같은 소식. 유튜브에서 창작 중인 안무와 비슷한 안무가 떴다고 한다. 확인을 해보니 지원사업이 시작되기 바로 전에 탈퇴한 구인원이 동영상 속에서 춤을 추고 있었던 것. 안무희 단장은 구인원에게 연락하여 추궁하자, 구인원은 자신은 지원사업과는 전혀 관련이 없고, 오히려 춤에 대한 자신의 아이디어가 반영된 것이라고 하며 항변을 하는데 ...
Outro
서울문화재단 공지 바로가기
서울문화재단 공지 바로가기
"공연을 앞두고 중도하차를 통보 받았습니다..."
"공동창작으로 가는 게 좋을까요?"
좋은 해결을 바라는, 더 좋은 예방을 원하는 공연예술인을 위한 법률특강
(2차) #실전편
Ⅰ. 강연 정보
가. 「예술인통합상담지원센터」법률컨설팅 특별기획 오픈강연(9월)
나. 일시․장소 : 2022.09.26.(월) 19:00 ~ 21:00 예술청 2층 아트라운지
Ⅱ. 강연 기획의도
Ⅲ. 강연 구성
Intro
CASE 1. "작품활동, 중도에 하차하면 어떻게 되죠?"
CASE 2. "융복합 다원 예술팀, 공동창작으로 가는 게 좋죠?"
CASE 3. "지원사업에 선정됐는데, 계약서로 발목이 잡혔어요."
CASE 4. "탈퇴한 단원과 유사한 창작으로 분쟁이 생겼어요."
Outro
서울문화재단 공지 바로가기